-
[화장지 사재기] 미국은 왜 코로나19에 마스크대신 휴지를 사는걸까? (Feat P&G)소소한 미국주식 2020. 3. 19. 00:47반응형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미국 주식 관련 내용 포스팅이 아니라 현재 미국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일어나고 있는 사회 현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현재 마스크가 아니라 휴지를 사기위해 상점 앞에 줄을 서고 있다고 합니다. 심지어 대형마트의 화장지도 거의 다 품절되고, 피자가게의 휴지도 돈을 받고 파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미국 소비재 대표기업인 P&G주가 흐름을 보면서 코로나19에서도 빛을 발하는 주식에 대해서 소개시켜드리려고 합니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수는 어마어마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국은 현지시간 3월 18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가 4,356명이고 사망자는 79명입니다. 미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상태입니다. 3월 초부터 일별 확진자가 몇백 명씩 쏟아지고 있는데요. 3월 17일에는 무려 1,700명 이상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공포가 생필품을 사재기하고 싶어하는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공포는 전염이 된다고 하던가요? 오히려 마스크보다는 오랫동안 집에서 머물 생각에 미국인들은 화장지를 사재기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화장지일까요?
휴지를 사는 대중들의 행동을 보고 미국인들은 화장지를 구매!
https://www.instagram.com/p/B92J2oaDGm0/?utm_source=ig_web_copy_link
Instagram의 Dzydaria님: “Commissions are open! #commissionsopen #digitaldrawing #toiletpaper”
좋아요 1,935개, 댓글 66개 - Instagram의 Dzydaria(@dzydaria)님: "Commissions are open! #commissionsopen #digitaldrawing #toiletpaper"
www.instagram.com
어떤 일러스트레이터의 인스타 그램입니다. 일러스트를 그려주는데 커미션(commission)을 휴지로 받겠다고 하네요! 스케치를 하면 두루마리 휴지 6개, Full 일러스트레이션은 24개의 두루마리 휴지를 받겠다고 합니다. 진기한 일이네요. 사람들은 이러한 SNS을 보면서 더욱더 휴지를 사고 싶은 마음을 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Herd behaviour"(무리 행동)이라고 부른다
사람들도 무리지어 다닌다 Herd는 "무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양무리, 염소 무리 등을 생각하면 쉬우실 텐데요. 우리 인간도 Herd Animal입니다. 그래서 집단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 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인플루언서의 행동을 모방하고 따라 하려고 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화장지 사재기는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호주에서도 발생한 일입니다. 이때 SNS을 통해서 전달되는 내용이 미국 사회에도 화장지 사재기라는 'Herd behaviour'현상을 불러오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무리를 지어서 밥을 먹으러 가면 메뉴를 통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 그리고 가게에 평점을 줄 때 이전 사람들이 주었던 평점을 따라가는 경향이 많다고 하네요.
□ 아마존에서 특가상품을 만났을 때 소비자의 평가를 믿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 유튜브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따라 추는 것
이러한 사례는 모두 Herd Behaviour의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미국의 소비재 흐름은 어떠한가? P&G(프록터 앤 겜블)로 살펴보자
미국의 소비재 대표주자 P&G(프록터 앤 겜블)의 주가 흐름은 코로나19 사태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잘 버텨주고 있습니다. P&G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으로, 비누 샴푸, 기저귀 휴지 등 소비재를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P&G는 미국의 30대 기업에 포함되고 2007년에는 포춘이 발간한 가장 존경받는 기업 10위에 오른 기업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안정적인 배당을 하는 회사로도 유명해서 미국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아마 대부분 아시는 기업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 P&G의 주가는 120불에서 약간의 우상향을 하고 있다가 코로나19 악재로 100불 선을 터치했지만 곧장 반등하여 현지시간 3월 18일에는 119.74불의 주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주식이 약 30~50% 정도 하락하고 미국 증시는 연일 서킷브레이커를 발동 중에 있지만 이러한 알짜 기업은 코로나 19에도 거뜬해 보입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19로 인해 사람들이 외출을 하지않으면 이러한 필수소비재의 수요는 올라가고 더군다나 사재기까지 일어나고 있으니 이정도면 코로나19 수혜주라고 해야 할까요?
2020/03/12 - [미국주식속으로] - 미국은 사상 2번째 '서킷브레이커' 한국 '사이드카' 발동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간단 정리)
미국은 사상 2번째 '서킷브레이커' 한국 '사이드카' 발동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간단 정리)
미국은 3월 9일 '서킷브레이커'(CircuitBreaker)가 발동하였고 한국은 3월 12일 '사이드카'가 발동하였습니다. 모두 증시가 좋지 않을 때 특히 순간적인 급락인 상황에서 발동하게 되는데요 과도한 주식 매도가 발..
sky-clear.tistory.com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시민들의 심리적인 동요가 상당한 것 같습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져 가는 우리나라 시점에서 현 미국을 바라보았을 때 휴지보다는 마스크가 더 필요해 보이는데 말이죠. 어쨌든 미국은 이제 코로나19와의 전쟁이 시작된 모양새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반응형'소소한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6 미국증시] 대폭락 한주동안 3번 서킷브레이커 발동, 역대급하락 알아보기 (4) 2020.03.17 [미국주식] 금리인하 빅컷 미국주식시장 구할수 있을까? 미국 우리나라 역사적 금리 변화 (0) 2020.03.16 [1]구글스프레드시트로 나만의 주식종목 즐겨찾기 만들기(가격, 거래량) (1) 2020.03.15 미국은 사상 2번째 '서킷브레이커' 한국 '사이드카' 발동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간단 정리) (1) 2020.03.12 [미국주식] 아마존 고, 아마존은 GO or STOP (4) 2020.03.12